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7

한의학의 구내염, 혀염증 구미(口糜)의 원인과 약 구내염은 모든 사람에게 흔하게 발생하며 심한 통증, 식사 시 불편감을 유발하여 오래 지속되면 건강이 더 악화되기도 합니다. 입에 염증이 생겼다면 우선 감염이 있는지 없는지 구분을 해야 합니다. 바이러스, 곰팡이균 등이 의심될 때에는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를 처방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구내염의 종류 및 원인 단순포진성 구내염 cold sore라고도 합니다. 단순포진 바이러스(HSV-1)에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자연치유되기도 하며 연고나 항바이러스제가 권유되기도 합니다. 칸디다 구내염 아구창이라고도 하며 곰팡이균에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항진균제를 복용하면 좋으며 구강의 청결유지 교육이 필요합니다. 아프타성 구내염 canker sore라고도 합니다. 원인불명이나 면역력 저하, 세균, 바이러스 등을 원인으로 추.. 2022. 10. 18.
입냄새의 원인 6가지와 한의학에서 보는 구취 제거 방법 입냄새, 구취는 영어로 Halitosis, Bad breath, Smelly mouth 등으로 표기합니다. 이는 생활하는데 큰 장애가 되지 않지만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합니다. 치주질환, 호흡장애 등은 위험한 질병으로 변하기도 하니 적절한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합니다. 6가지 입냄새의 원인들 1. 구강위생 적절한 구강위생관리가 필요합니다. 혓바닥도 닦아주며, 입천장, 뺨의 안쪽도 신경 씁니다. 치실을 꼭 사용합니다. 틀니의 세정에 신경 씁니다. 주기적인 스케일링을 합니다. 치과의사의 진단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2. 구강건조 입을 벌리고 하는 호흡이 원인이 된다면 호흡 훈련을 꾸준히 실행합니다. 타액이 부족하다면 신 음식을 섭취합니다. 무설탕 껌이나 캔디가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인공.. 2022. 10. 18.
입이 쓴 이유와 한의학에서 입맛이 쓸 때 처방하는 약 이유 없이 입맛이 변할 때가 있습니다. 특이 입이 쓸 때는 고통스럽습니다. 입이 쓴 이유는 다양한데, 역류성식도질환, 구강건조, 침의 과다분비, 세균, 간 기능의 저하, 임신, 흡연 등이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심(心)과 간담(肝膽)에 열이 있을 때 입맛이 쓸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입이 쓴 이유 구강작열감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 화상을 입은 듯 고통스러운 감각이 지속되는 증상으로 신경의 손상, 당뇨, 폐경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질환 위산이나 담즙이 역류하여 쓴 맛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지방을 많이 섭취하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식도 부분의 작열감, 연하장애 등이 동반됩니다. slippery elm(유근피)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구강건.. 2022. 10. 18.
주사피부염, 주사비(비사)의 뜻, 한의학에서의 치료 주사 피부염(rosacea)은, 주사비는 코에 국한되어 해석됩니다. 증상은 코, 뺨, 턱, 이마 등에 발적이 생기며 작은 혈관들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피부, 코가 두꺼워지고 부어오를 수 있습니다. 술, 약물, 화장품, 태양광, 스트레스, 더위, 운동, 유전 등이 원인입니다. 주사피부염의 뜻 주사 피부염은 영어로 rosacea입니다. rose(장미)라는 단어와 흡사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듯이 이는 라틴어로 장밋빛의 라는 뜻으로 얼굴이 빨개지는 증상을 나타냅니다. 주사양피부염(rosacea-like dermatitis , 酒齄樣皮膚炎)도 같은 의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사의 한자어는 酒齄입니다. 비사(鼻齄), 주사비(酒齄鼻) 모두 같은 뜻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술 주(酒)에 주부코 사(齄)입니다. 사에.. 2022. 10. 15.
이명의 원인과 한의학에서의 이명약, 치료제 이명은 외부 자극 없이 소리가 들리는 증상입니다. 전화 벨소리, 벌이 윙윙거리는 소리, 호루라기 소리, 대포 소리, 바람 소리 등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심장 박동에 맞추어 강도가 바뀌기도 합니다. 빈혈, 노인성 등 허증으로 생기기도 하지만 메니에르병, 종양 등이 유발하기도 합니다. 이명의 특징 고령에서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기존에 소음에 많이 노출된 경우 발병률이 높아집니다. 난청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명의 원인 특별한 원인질환 없이 생기기도 합니다. 메니에르병 노인성 난청 소음성 난청 빈혈 갑상선 기능 항진 머리의 외상 약물 부작용. 아스피린, 항생제 등. 뇌신경의 종양(한쪽에서만 계속 들리는 경우, 청신경종의 가능성) 이명의 검사 이경 : 외이, 고막의 이상 청력검사 : 난청 동반.. 2022. 10. 15.
귀통증, 귀가 아픈 이유 귀의 통증은 외력을 받거나 염증이 생겨서 발생합니다. 다치지 않더라도 귀를 너무 자주 후비거나 비행기 여행, 잠수, 다이빙 등 기압 차이가 심해진다면 귀의 구조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은 해당 원인에 맞는 약물을 복용하여야 합니다. 1. 중이염 귀에 통증이 있을때 가장 먼저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세균, 바이러스에 의해 중이의 점막에 염증이 생깁니다. 고름이나 장액이 고이면 통증과 난청을 유발합니다. 감기, 독감, 세균성 인후염 등의 타 질환에 동반되어 생기기도 합니다. 간혹 고막에 천공이 생기기도 합니다. 귀의 구조가 미성숙한 어린이에게 더 흔합니다. 귀에 분비물이 있습니다. 증상 심한 귀의 통증 난청 고열 고막 천공시 피가 섞인 물이 나옵니다.. 2022. 10. 14.
귀가 안들려요 이롱의 한의학적 원인과 치료 한의학에서 귀는 신(腎)이 통하는 구멍입니다. 신이 정상적이면 듣는 것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신은 정기를 저장하는 곳이지 정기를 잘 보존해야 귀가 잘 들립니다. 한의학에서 이롱은 왼쪽(좌이롱), 오른쪽(우이롱), 양쪽(좌우구롱)으로 나누어 각각 간담, 신방광, 위의 질환으로 보았습니다. 이롱의 구분 왼쪽 좌이롱 간, 담의 화(火)로 인함 잘 화내고 노하는 사람 여성 오른쪽 우이롱 신, 방광의 화(火)로 인함 색욕이 지나친 사람 남성 양쪽 좌우구롱 비, 위의 화(火)로 인함 기름진 음식, 독한 술, 단 음식 오래된 이롱 허증. 노인. 지나친 성관계로 정이 소모되었을 때. 문헌의 이롱 귀가 안들리는 증상 즉 이롱(耳聾)은 다 열증에 속하지만 왼쪽 귀만 안들리는 경우가 있고 오른쪽 귀만 안들리는 경우도 있으며.. 2022. 10. 13.
동의보감에 기록된 눈에 좋은 음식 몸이 천냥이면 눈이 구백 냥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사람은 정보를 대부분 시각으로 얻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다른 동물에 비해 큽니다. 대기오염, 각종 전자기기, 음식조절, 스트레스, 노화 등 다양한 이유로 눈의 건강을 잃고는 합니다. 동의보감에 기록된 눈에 좋은 음식을 적어봅니다. 소금 물에 끓여 따뜻할 때 눈을 씻어주면 눈이 어둡고 핏발이 선 것을 없애준다. 그것은 소금이 몰린 피를 능히 흩어주기 때문이다. [직지] 아침 일찍 일어나서 소금 넣고 끓인 물로 양치하고 눈을 씻어주면 눈을 밝게 하고 치아를 튼튼하게 하는데 가장 좋다. [본초] 먹는 목적이 아니라 점안 및 세척의 목적입니다. 청염은 광물성 소금덩어리로 천일염보다 귀하게 여겼습니다. 현대에는 생리식염수가 이 역할을 대신하고 있으며 더 .. 2022. 10.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