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7

자꾸 재발하는 만성 두드러기의 원인질환 7가지 두드러기는 영어로 hives, urticaria라고 표현하고 한자어로는 은진(癮疹), 담마진(蕁麻疹)이라고 합니다. 급성 두드러기는 뚜렷한 원인이 존재하고 수시간 내에 가라앉으며 항히스타민제에 잘 반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개월 이상 재발하는 만성 두드러기는 원인을 알기 어렵습니다. 급성 두드러기를 발생시키는 원인들 식품(계란, 우유, 밀가루, 메밀, 콩, 게, 새우, 견과류, 생선, 어패류, 육류, 복숭아, 자두, 키위, 딸기, 살구, 참외 등) 약물 (NSAID, 항생제 등) 곰팡이 동물(고양이, 개 등) 온도(콜린성과 한랭) 집먼지진드기 햇빛 만성 두드러기를 발생시키는 원인질환 7가지 1. B형간염 B형간염은 다른 간염에 비해 두드러기가 잘 생깁니다. 바이러스로 인해 전파되는데 주사바늘의 재사용이.. 2022. 11. 22.
한의사가 권유하는 두드러기 가라앉히는 법과 예방법 두드러기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모두 알레르기 반응으로 볼 수 있습니다. 워낙 발병률이 높고 증상이 대개 가벼워 보통은 수시간 내에 가라앉고, 항히스타민제에 잘 반응하니 가볍게 보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반복 발생하면 매우 괴로운 질환으로 한의학적 치료와 예방방법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두드러기와 알레르기 항원에 노출되고 나면 몇몇 백혈구들이 그 항원에 대해 예민해지고 비만세포(mast cell)을 자극하여 히스타민의 분비를 촉진시킵니다. 이 알레르기가 호흡기에서 생기면 비염, 위장에서는 음식물 알레르기, 피부에서는 두드러기, 피하조직에서 혈관 부종, 전신으로 아나필락시스 등으로 발생합니다. 명확한 항원을 찾기 위해서는 언제 증상이 발생하는지 잘 살펴보아야 하고, 피부단자검사같은 검사를 통해 항원을 확인.. 2022. 11. 18.
한랭 두드러기, 한랭알레르기에 대하여 한랭 두드러기는 한랭 알러지, 한랭알레르기, 한랭 과민증이라고도 부릅니다. 추위에 노출된 후 붉은 발진이 생겨 가려움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가족력이 있을 수 있고 젊은 성인에게 많이 발생하며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다발합니다. 특히 사계절이 뚜렷한 대한민국 사람들에게는 괴로운 질환입니다. 증상 사람마다 증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바로 나타나지 않고 추운 곳에서 따뜻한 곳으로 이동한 후 발생하기도 하며, 이동 후 더 심해지기도 합니다. 차가운 물이나 공기에 접촉한 후 5~10분 후에 나타나 1~2시간 정도 지속됩니다. 추위를 느낀 후의 발진 알레르기 반응(아낙필라시스) 실신, 두근거림, 전신부종, 쇼크 접촉부위, 찬 음식을 먹고 난 후 입술의 부종 두통, 현기증 타는듯한 느낌 호흡기 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 2022. 11. 17.
한의사가 보는 콜린성 두드러기의 원인 3가지 콜린성 두드러기는 콜린성 혈관부종이라고도 합니다. 명확한 외부의 항원이 존재하는 알레르기성 반응과는 다르게 심부 온도가 올라가면서 생기는 가렵고 따끔거리는 작은 크기의 붉은 두드러기입니다. 수분 수시간 내에 가라앉고 하루에도 여러번 재발 가능합니다. 원인은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대개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전신두드러기, 호흡기의 혈관부종, 호흡기의 경련, 저혈압 등이 동반된다면 위험한 질환이 될 수 있습니다. 콜린과 두드러기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분됩니다. 그 중 땀을 내는 작용을 하는 것은 부교감신경입니다. 그리고 부교감신경의 신경전달물질이 아세틸콜린입니다. 이 아세틸콜린이 땀샘에서 정상작용하지 못하고 비만세포(Mast cell : 면역을 담당하는 일종의 백혈구로 히스타민 등의 염증매.. 2022. 11. 14.
왼쪽 갈비뼈 통증을 유발하는 비장 질환 왼쪽 갈비뼈쪽의 옆구리에 통증이 발생한다면 해부학적 위치상 비장의 질환을 한번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비장은 지라라고 하고, 위치는 왼쪽 횡격막 바로 밑이고 9~11번(하부)늑골 안쪽입니다. 위, 췌장, 신장 등과 붙어있습니다. 많은 혈액이 들어있는 거대한 림프절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비장의 역할 인체 혈액의 10%정도를 가지고 있고, 분당 150ml의 혈액이 통과합니다. 대표적인 역할은 혈액 정화와 면역기능입니다.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없어도 생존은 가능합니다. 비장을 수술로 제거하거나, 비장으로 가는 혈관에 손상이 있거나, 간질환이나 겸상적혈구혈증 등으로 비장이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비장이 기능을 못하면 간 등의 다른 장부들이 역할을 대신 하게 됩니다. 다만 감염 위험이 높아지므로.. 2022. 11. 11.
한의학에서 보는 갈비뼈 통증의 원인 5가지 최근 골프를 하는 분이 늘어나며 갈비뼈 통증을 호소하시는 분이 많아졌습니다. 대개는 과사용으로 인한 염좌나 골절이 원인이 되는데요. 그러한 원인 없이 갈비뼈가 아프다면 불안하기 마련입니다. 갈비뼈는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인 심장, 폐, 간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한의학에서 보는 갈비뼈 간과 담낭은 우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한의학에서 간과 담의 경맥은 양측 모든 옆구리와 갈비뼈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간담이 않좋으면 양쪽 옆구리로 사기가 흘러가 통증이 생긴다고 하였습니다. 한의학에서 간과 담은 현대의학에서 밝힌 것보다 많은 기능을 한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중 간주소설(肝主疏泄)이라고 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소설은 소통과 배설이라고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이는 감정, 정서에 영.. 2022. 11. 10.
위, 아래, 왼쪽, 오른쪽 옆구리 통증의 원인과 한의학에서의 해석 옆구리의 현재 사전적 정의는 등과 배가 만나는 옆부분, 갈비뼈와 골반뼈 사이입니다. 그러나 한의학에서는 갈비뼈 부분까지 포함하여 겨드랑이와 골반뼈 사이를 옆구리로 보고 있으니 2배의 범위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옆구리의 통증을 위, 아래, 왼쪽, 오른쪽 모두 나누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옆구리의 정의 옆구리는 체간의 양 측부를 뜻하는 말로 등, 배와 특별한 경계가 있지는 않습니다. 현재 옆구리의 사전적 정의는 갈비뼈 밑 부분만 뜻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상에서는 갈비뼈가 있는 부위도 옆구리로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오히려 갈비뼈가 있는 부위를 옆구리로 보고 있고 밑부분은 허리로 지칭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옆구리의 한자어는 협(脇)으로 갈비뼈를 뜻하는 늑(肋)이 여러 개가 모인 모양이니 .. 2022. 11. 9.
동의보감에 기록된 허리에 좋은 음식과 약초 한의학에서도 허리의 통증은 1010여 가지로 구분할 정도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오장육부중에는 신(腎)에 배속되는 부위입니다. 신장은 배꼽 양쪽에서 조금 위에 있다고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실제로 요통에 이 부근은 등이나 배부분에서 마사지, 침치료, 부항, 뜸 등을 활용하기도 합니다. 허리에 대한 기록 허리는 신장(腎臟)이 있는 곳이므로 만약 허리를 잘 돌리지 못하면 이것은 신가가 쇠하려는 것이다. [내경] 허리는 신장의 상태가 밖으로 나타나는 곳으로써 온몸이 허리의 작용을 빌어 움직이고 구부렸다 폈다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경맥은 신을 거쳐서 허리뼈에 연결된다. 따라서 비록 외감과 내상으로 각각 그 병인은 같지 않겠지만 반드시 신이 허해진 이후라야 병을 일으키는 사기가 침입하게 되므로 순전히.. 2022.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