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4

“목에 뭐가 걸린 느낌이 나요” 매핵기에 대해서 매핵기란 목안에 무엇인가 걸린 느낌이 나는데 실체는 없는 증상으로 히스테리구, 인두신경증, 인두이물감 등으로 불립니다. 쓰리는 느낌, 타는 듯한 느낌 등이 나기도 합니다. 한의학에서 매핵기의 원인으로 나오는 것은 칠정(일곱 가지 감정)으로 인해 기가 뭉쳐 생긴 담(가래 같은 물질)입니다. 동의보감에 기록된 매핵기 칠정으로 기가 울결 되면 담연이 생기고, 이것이 기를 따라 쌓이면 단단해지고 커지면서 덩어리가 된다. 이것은 명치 사이에 있으면서 목구멍을 막기도 하는데, 이때는 매실 씨나 솜뭉치 같은 것이 생겨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넘어가지 않는다. 그리고 발작할 때마다 숨이 끊어질 것 같고 치밀어 오르기 때문에 음식을 먹지 못한다. 이런 경우에는 사칠탕을 쓴다. [득효] 남자나 여자가 가슴과 목구.. 2022. 10. 24.
인후통이 있을 때 자가 진단 및 치료 인후통은 일생동안 흔하게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인후는 목구멍과 부근의 구조물들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인두는 비인두, 구강인두, 후두 인두로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후두는 기도의 입구 부분으로 후두개가 기체 외의 물질을 막아주며 안에 성대가 있습니다. 흔한 통증 원인인 과사용과 염증입니다. 자가 진단 1단계. 열이 있는가? (38도 이상, 혹은 평소보다 1.5도 이상 높을 때) 열이 있다면 바이러스 세균 등의 감염의 확률의 높습니다. ->2단계 열이 없다면 목에 무리가 있어 생긴 인두염, 편도선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도한 흡연, 담배연기 및 기타 자극성 기체의 흡입, 큰 소리를 오래 지르거나 노래를 오래 하여 생길 수 있습니다. 혹은 가벼운 감기일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1~2일 정도 자가 관리를 해볼.. 2022. 10. 22.
한의학에서 치통, 치은염의 7가지 원인과 처방 한의학에서 치아는 뼈와 같이 신(腎)이 주관을 합니다. 위아래 잇몸은 각각 족양명 위경, 수양명대장경과 통하는 곳입니다. 위의 치아나 잇몸이 아플 때는 찬 음식을 좋아하고 아래 치아나 잇몸이 아플 때는 뜨거운 음식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둘다 싫어하면 풍(風)으로 인한 치통으로 봅니다. 치통은 위(胃)에 있던 습열이 잇몸 사이로 올라갔을 때 풍한에 감촉되거나 찬 것을 마셔서 울체 되어 통증이 생기는 것이다. 외용으로는 맵고 따뜻한 약으로 문지르고 양치해야 한다. 근본에는 열이 있기 때문에 속으로는 맵고 서늘한 약을 써서 열을 발산시켜야 한다. [단심] 치아를 문지를때는 사전소거산을 통용한다. 수양명대장경의 지맥이 이에 들어가니 맥이 막히면 이가 뜨고 허하면 이가 드러나며 풍을 끼면 치밀어 올라 아프고 감닉.. 2022. 10. 21.
입 헐었을 때 뿌리는 한방 구내염 치료약 예전에도 구내염은 골칫거리였나봅니다. 동의보감에는 많은 구내염 치료법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수천년전부터 전해지던 처방이니 민간요법 정도로 생각할 수 있지만, 벌꿀, 수박, 양유(산양유나 우유로 대체) 등은 지금도 활용해볼 수 있겠습니다.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한약도 고려해보면 좋습니다. 처방 부연산 입안이 헐었을 때 뿌려줍니다. 오배자, 황백, 활석. 겸금산 열독으로 입안과 혀가 헐었을 때 치료합니다. 황련, 세신 같은양을 가루내어 만듭니다. 녹포산 입안이 헐었을 때 사용합니다. 황백, 청대, 편뇌 환금산 열독으로 입안이 헌 것을 치료합니다. 건강, 황련 각각 같은양을 가루내서 뿌려줍니다. 단방 백반(명반, 반석) 천연 광물질입니다. 황산,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약입니다. .. 2022. 10.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