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의학일반83

귀가 안들려요 이롱의 한의학적 원인과 치료 한의학에서 귀는 신(腎)이 통하는 구멍입니다. 신이 정상적이면 듣는 것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신은 정기를 저장하는 곳이지 정기를 잘 보존해야 귀가 잘 들립니다. 한의학에서 이롱은 왼쪽(좌이롱), 오른쪽(우이롱), 양쪽(좌우구롱)으로 나누어 각각 간담, 신방광, 위의 질환으로 보았습니다. 이롱의 구분 왼쪽 좌이롱 간, 담의 화(火)로 인함 잘 화내고 노하는 사람 여성 오른쪽 우이롱 신, 방광의 화(火)로 인함 색욕이 지나친 사람 남성 양쪽 좌우구롱 비, 위의 화(火)로 인함 기름진 음식, 독한 술, 단 음식 오래된 이롱 허증. 노인. 지나친 성관계로 정이 소모되었을 때. 문헌의 이롱 귀가 안들리는 증상 즉 이롱(耳聾)은 다 열증에 속하지만 왼쪽 귀만 안들리는 경우가 있고 오른쪽 귀만 안들리는 경우도 있으며.. 2022. 10. 13.
동의보감에 기록된 눈에 좋은 음식 몸이 천냥이면 눈이 구백 냥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사람은 정보를 대부분 시각으로 얻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다른 동물에 비해 큽니다. 대기오염, 각종 전자기기, 음식조절, 스트레스, 노화 등 다양한 이유로 눈의 건강을 잃고는 합니다. 동의보감에 기록된 눈에 좋은 음식을 적어봅니다. 소금 물에 끓여 따뜻할 때 눈을 씻어주면 눈이 어둡고 핏발이 선 것을 없애준다. 그것은 소금이 몰린 피를 능히 흩어주기 때문이다. [직지] 아침 일찍 일어나서 소금 넣고 끓인 물로 양치하고 눈을 씻어주면 눈을 밝게 하고 치아를 튼튼하게 하는데 가장 좋다. [본초] 먹는 목적이 아니라 점안 및 세척의 목적입니다. 청염은 광물성 소금덩어리로 천일염보다 귀하게 여겼습니다. 현대에는 생리식염수가 이 역할을 대신하고 있으며 더 .. 2022. 10. 13.
동의보감에 기록된 시력이 않좋은 이유와 눈에 좋은 처방 한의학에서 눈은 오장육부의 정기가 모여 있는 곳입니다. 오륜도라 하여 부위별로 흰자위는 폐, 검은자위는 간, 상안검은 비, 내외자는 심, 눈동자는 신에 속하여 각각 기륜, 풍륜, 육륜, 혈륜, 수륜이라 하였습니다. 시력이 안 좋아지는 것은 대개 기혈이 허하거나 열을 원인으로 보았습니다. 눈이 어두워지는 증상. 안혼(眼昏) 오장의 정명(精明)은 눈에 모이는데, 목정(目精)이 온전해야 눈이 밝다. [득효] 정명이라는 것은 만물을 보게 하고 흑백을 분별하게 하며, 장단을 가리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긴 것을 짧다고 하고, 흰 것을 검다고 하는 것은 장부의 정기가 쇠약하다는 것이다. [내경] 족소음경맥(腎)에 병이 생기면 눈앞이 어른어른하여 보이는 것이 없다. [영추] 간이 허하면 눈앞이 어른어른하여 보이는 것.. 2022. 10. 12.
한의학에서 얼굴 피부 좋아지는 법 예나 지금이나 피부가 좋아지는 방법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였습니다. 여성은 미용의 목적으로, 남성도 뾰루지, 여드름이나 부스럼 등을 걱정하였고 노인들 역시 기미나 주름살을 걱정하였습니다. 동의보감에 기록되어 있는 얼굴 피부를 관리하는 외용제나 먹는 한약, 한약재를 적어보았습니다. 바르는 한약, 음식, 약재 옥용산 얼굴에 생긴 기미나 작은 부스럼, 속은 종기, 땀띠, 여드름 같은 것과 피부가 가려운 것을 치료하며 기름때를 없애준다. 조각, 승마, 저실자, 백지, 백급, 천화분, 녹두, 감송, 축사, 백정향, 찹쌀을 가루 내어 늘 얼굴에 문지른다. 홍옥산 얼굴에 생긴 일체의 주자, 부스럼, 검정사마귀 등을 치료한다. 백지, 곽향, 저아조협, 감송, 삼내자, 목택, 백정향, 세신, 행인, 밀타승, 천화분, 백.. 2022. 10.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