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의학일반83

통증 부위에 따라 조금은 다른 요통의 위치별 원인 평생 허리 한번 안 아파본 사람이 있을까 싶습니다. 앉아있는 시간이 많으면 많은 대로, 몸을 많이 움직이면 움직이는대로 요통의 원인이 됩니다. 허리가 아픈 이유 여러 가지가 있지만 오늘은 그 부위에 따라서 통증 원인을 구분해 보았습니다. 어떤 요통은 자가 관리가 안되니 주의해야 합니다. 부상, 추락, 과로 등이 있었고 해당 위치에 생긴 통증 손상의 원인으로 의심될만한 이벤트가 있었다면 근육 긴장,, 타박상을 먼저 고려해봅니다. 진통제, 휴식, 핫팩, 아이스팩, 물리치료, 침 치료 등이 도움이 됩니다. 여기에 다리가 감각이 없어지거나 저리거나 움직임에 제한이 있다면, 혹 대소변의 조절이 안된다면 척수, 신경의 손상을 시사하므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양 허리 바로 윗부분 근육 긴장의 가능성이 높은 부위입니.. 2022. 11. 1.
출산 후 모유가 나오지 않는 산모에게 좋은 음식 모유량이 적으면 당사자 부부뿐만 아니라 친척들까지 많은 걱정을 하게 됩니다. 모유량이 적은 이유는 막혀서, 허해서 두 가지 원인으로 볼 수 있고, 둘 다 겸했을 경우도 많습니다. 막혔을 때에는 유방이 붓거나 아픈 증상이 동반되고 허한 증상은 외형을 보고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에 기록된 유방 동의보감에 이르길 여자는 음에 속하여 음이 극도에 이르면 위로 올라가 유방이 커지고, 남자는 양에 속하여 양이 극도에 이르면 아래로 내려가 음경이 커진다고 하였으니 남자에게는 음경이 여자에게는 유방이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출산 후 모유가 나오지 않는 두가지 이유 젖이 나오지 않는 것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기혈이 너무 왕성하여 젖이 몰리고 막혀서 나오지 않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혈이 약하여 .. 2022. 10. 27.
한의사가 추천하는 한방 인후통 약 인후(咽喉)는 목구멍을 통칭하는 말이지만 한의학에서 인(咽) 후(喉)로 구분을 합니다. 인은 삼킨다는 의미로, 음식물이 통하는 길을 인(咽), 익(嗌, 인의 아랫 부위), 인후, 식도로 부릅니다. 후는 들이마신다는 의미로, 숨이 오르내리는 길은 후(喉), 후롱(喉嚨), 기관으로 부릅니다. 바이러스 등의 감염으로 인한 인후통은 패독 산류, 항바이러스제 연교패독산, 형방패독산, 인삼패독산 등이 있습니다. 발열, 전신통증, 기침, 콧물, 두통 등의 전신 증상이 있을 때에는 한의원이나 병원에서의 처방약을 고려해봅니다. 몇몇 약국에서는 팩으로 포장되어 있는 한약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자극으로 인한 인후부 염증에는 박하, 도라지, 형개 등 감길탕, 길경탕 감기 발생 후 시간이 지나 생긴 인후통에 사용하는 처방 길경.. 2022. 10. 27.
“목에 뭐가 걸린 느낌이 나요” 매핵기에 대해서 매핵기란 목안에 무엇인가 걸린 느낌이 나는데 실체는 없는 증상으로 히스테리구, 인두신경증, 인두이물감 등으로 불립니다. 쓰리는 느낌, 타는 듯한 느낌 등이 나기도 합니다. 한의학에서 매핵기의 원인으로 나오는 것은 칠정(일곱 가지 감정)으로 인해 기가 뭉쳐 생긴 담(가래 같은 물질)입니다. 동의보감에 기록된 매핵기 칠정으로 기가 울결 되면 담연이 생기고, 이것이 기를 따라 쌓이면 단단해지고 커지면서 덩어리가 된다. 이것은 명치 사이에 있으면서 목구멍을 막기도 하는데, 이때는 매실 씨나 솜뭉치 같은 것이 생겨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넘어가지 않는다. 그리고 발작할 때마다 숨이 끊어질 것 같고 치밀어 오르기 때문에 음식을 먹지 못한다. 이런 경우에는 사칠탕을 쓴다. [득효] 남자나 여자가 가슴과 목구.. 2022. 10.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