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일반83 머리에 땀이 많이 나는 두한증의 원인과 치료 유독 머리에 땀이 많이 나서 고민인 분들이 있습니다. 한자어로는 두한증이라고 합니다. 양방에서는 별다른 진단이나 치료가 없고 한의학에서는 조금 다루고 있습니다. 우선 정말 머리에만 많이 나는 것인지 확인을 합니다. 그리고 건강상태와 다른 질환 유무 등을 체크하면 좋습니다. 두한증이란 머리는 모든 양이 모이는 곳이므로 사기가 양과 부딪쳐 진액이 위로 몰리면 머리에서 땀이 난다고 하였습니다. 머리는 삼양경이 모이는 곳인데 머리에 땀이 나는 것은 양이 허하기 때문이다. 땀이 나는 것인 양이 미약한 때문이다. 머리에서 땀이 나서 목까지만 땀이 나는 것은 혈증인데 이마에서 땀이 더 심하게 나는 것은 대개 머리는 육양 경맥이 모이는 곳이므로 열기가 훈증하여 땀이 나게 되는 것이다. 턱은 신에 속하고 이마는 심에 속.. 2022. 9. 12. 땀이 많이 나는 이유와 땀 안나는 법 한의학에서 땀은 심(心)에서 나오는 액이라고 하였습니다. 심의 역할은 자율신경 조절입니다. 문제는 교감신경이 과다하게 흥분하여도 땀이 많이 나오고, 반대로 교감신경이 저하되고 부교감신경이 과도해도 땀이 많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다한증의 진단, 치료가 어려운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한의학에서 땀이 나는 원인 땀은 심에서 나오는 액이라고 하였습니다. 오장육부 별로 보면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었을 때는 땀이 위(胃)에서 나오고, 놀라서 정신을 잃고 심기가 손상되어 나올 때는 심에서 나오고, 무거운 것을 지고 먼 길을 갈 때는 신(腎)에서 나오고, 빨리 뛰거나 무서운 일을 당하였을 때는 간에서 나오고, 노력이 지나칠 때는 비에서 나온다고 하였습니다. 즉 땀이 많이 나는 원인이 종류가 많다는 것입니다. 병.. 2022. 9. 12. 한의학에서 자도 계속 졸린 이유와 잠 깨는 음식 잠에 못들어 고민인 분도 많지만 자고 나서도 피곤하고 계속 졸린 분들도 많습니다. 봄에 더 심하면 춘곤증, 식후에 더 심하면 식곤증이라 하고 병이 되면 기면증이라 합니다. 한의학에서 보는 수면, 잠을 깨는 방법과 음식에 대해서 적어보겠습니다. 한의학에서 잠이란 한의학에서 잠에 들거나 깨는 것은 양기(陽氣)의 출입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보았습니다. 양기가 성하면 눈을 부릅뜨고 음기가 성하면 눈을 감는다고 하였습니다. 잠이 많은 것 위기(衛氣)가 양분에 머무르면 잠에 들지 못하고, 음분에 머물러 음기가 성해지면 눈이 감긴다고 하였습니다. 오장육부나 정서의 균형이 깨졌을 때 양기가 허할 때 비위기능이 약하거나 과식하여 습이 생길 때 열병이 심하게 진행되었을 때 자고나도 계속 졸린 이유 황제가 “잠을 자도 편안치.. 2022. 9. 7. 한의학에서 건강한 수면을 유도하는 음식 한의학에서 잠에 들거나 깨는 것은 양기(陽氣)의 출입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보았습니다. 즉 태양이 떠오르면 잠이 깨고 사라지면 잠에 드는 것이 너무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요새는 자정이 지나서도 잠 못 드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수면제, 수면유도제를 먹고 간신히 잠들기도 하니 안타깝습니다. 잠에 들고 깬다는 것 [영추]에서는 위기(衛氣)가 낮에 양(陽)에서 운행할 때는 깨어 있고, 밤에 음(陰)에서 운행할 때는 눈을 감고 잔다고 하였습니다. 정강성이 말하기를 양기가 양분인 신체 표면을 운행하는 동안에는 이목구비가 양기를 받으니 깨어있고, 양기가 음분인 장부 속을 운행하는 동안에는 이목구비에 양기의 운행이 없으니 자게 되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현대에는 낮에 깨어있고 밤에 잔다는 개념이 바뀌었습니다. 밤이 되어.. 2022. 9. 7. 이전 1 ··· 16 17 18 19 20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