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7

목양체질과 목음체질의 특징과 구분하는 법 목체질은 목양체질과 목음체질이 있습니다. 사상의학의 태음인도 열자(熱子, 열 생성이 잘되는 사람)와 한자(寒子, 열 생성이 잘 안 되는 사람)로 나누는데, 다른 체질에 비해서 뚜렷하게 나누는 편입니다. 목양체질과 목음체질이 태음인 열자와 한자에 흡사함을 보이니 다른 체질에 비하여 음양의 구분이 용이한 편입니다. 권도원 선생님의 목체질 권도원선생님은 팔체질을 창시한 분입니다. 다음은 8체질 공식 홈페이지라 보이는 http://www.ecmed.org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목양은 간, 목음은 담이 가장 강하다고 합니다. 목음체질은 목양체질에 비하여 냉한 체질로 따뜻한 기운이 필요합니다. 목양체질 장부 중에서 간이 가장 강함 바다생선, 해물, 푸른 잎채소, 포도 등은 간과 담을 과하게 흥분 감염, 피부염,.. 2023. 4. 12.
사상의학에서 태음인은 몇명인가? 특징은? 태음인은 한국인에게 가장 많은 체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인의 대표적인 특징인 급한 성격, 화병 등은 태음인의 이미지와 거리가 있어 보이기도 합니다. 체질 진단에 대한 견해는 개인차가 크고, 지역에 대한 편차, 특정 경험의 확대해석 등으로 특정 체질을 많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한국인 중 태음인은 몇 명인가? 이제마는 태음인을 약 50%로 보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초본권과 후학이 쓴 신축본에 그렇게 기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초본권 다음의 갑오본에서는 북부지방에서 30%이고, 남부지방에서는 40% 정도라고도 하였습니다. 이제마의 활동지역이 북한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남한에서는 40% 정도로 보아야 맞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연구논문에서 574명을 체진진단 하였을 때 44%가 태음인으로 진단.. 2023. 4. 11.
권도원, 주석원, 류주열, 이상원 4인의 금체질 음식 섭생의 비교 1960년대 권도원 선생님께서 8 체질에 따른 섭생과 치료를 발표하신 후 수십 년 간 수정과 발전이 있어 왔습니다. 금체질은 금양, 금음체질을 이르는 말로, 사상의학의 태양인에서 분화된 형태입니다. 금양, 금음 두 체질의 음식과 섭생은 거의 비슷하나 조금씩 차이를 보이기도 합니다. 사진 출처 : [8체질 다이어트. 주석원 지음] [1] 8 체질 창시한 권도원 선생님의 금체질 음식 8체질 공식 홈페이지 http://www.ecmed.org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금양체질과 금음체질은 거의 비슷합니다. 8 체질에 따른 섭생의 시초이며 업데이트도 되고 있습니다. 8체질이긴 하나 금양과 금음의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찹쌀은 금양에, 굴은 금음에 조금 더 안 맞고, 귤, 생강, 고추, 파, 양파 등의 향신료는 비.. 2023. 4. 7.
사상의학에서 태양인에게 잘 맞는 음식 사상의학은 동무 이제마 선생님께서 130130여 년 전에 정리한 내용입니다. 동의수세보원이라는 책에서는 4가지 체질에 따른 음식을 지정하지는 않았지만 한약재는 나누어 사용하셨습니다. 동무유고 등에서 체질에 따라 음식을 가리라 하셨고 8 체질 등이 나오고 연구와 경험이 누적되어 알려졌습니다. 금체질과 태양인의 특징 비교(이제마, 권도원, 주석원, 이상원) (tistory.com) 금체질과 태양인의 특징 비교(이제마, 권도원, 주석원, 이상원) 금체질은 폐가 가장 강하고 간이 가장 약하여 태양인과 유사한 장부배속의 체질입니다. 팔체질은 사상의학과 출발이 다릅니다. 장부의 편차에 대한 인식도 다소 다릅니다. 사상의학을 만들어 youngbom.com 태양인=금체질은 아닙니다. 이것을 기억하셔야 태양인의 섭생이 .. 2023. 4. 6.
금체질과 태양인의 특징 비교(이제마, 권도원, 주석원, 이상원) 금체질은 폐가 가장 강하고 간이 가장 약하여 태양인과 유사한 장부배속의 체질입니다. 팔체질은 사상의학과 출발이 다릅니다. 장부의 편차에 대한 인식도 다소 다릅니다. 사상의학을 만들어 한국의 체질의학을 연 이제마와 8체질을 만든 권도원, 그를 잇는 주석원, 이상원 4명의 감별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제마, 권도원, 주석원, 이상원 4명의 선생님이 보는 금체질(태양인) 이제마 선생님은 1837년 출생하셨고, 동의수세보원을 1894년 완성합니다. 권도원 선생님은 1921년 출생하셨고, 1921출생, 1962년 8체질의학을 창시하였습니다. 주석원 선생님은 권도원박사의 제자 도올 김용옥선생님의 제자로, 팔체질의 대중화에 기여하였습니다. 이상원 선생님은 교사출신이지만 팔체질과 사상의학을 깊이 연구하여 8체질 연구.. 2023. 4. 1.
기침감기가 오래가는 이유와 한방 기침가래약 감기에 걸리면 염증으로 인한 점액, 면역반응물질 등이 신경을 자극하여 기침이 나옵니다. 이는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반응으로 1~2주 정도 지속되는 것이 정상입니다. 다만 이것이 침입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제거된 이후에도 지속된다면 기관지염, 폐렴, 천식 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 기침감기가 오래가는 이유 한의학에서 기침가래 증상을 해수(咳嗽)라고 합니다. 기침만 나오는 것을 ‘해’, 가래만 나오는 것을 ‘수’라고 하고 둘 다 나오는 것을 해수라고 하였습니다. 감기 초기의 기침과 가래는 풍수(風嗽), 한수(寒嗽)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만일 가래가 오래간다면 비(위장)의 기능이 상한 것으로 담수(痰嗽)로 봐야 하고, 기침이 오래간다면 폐의 기운이 상하거나 막힌 것으로 건수(乾嗽)로 보면.. 2023. 3. 17.
멀미약 성분과 종류(아네론, 아메론, 메카인, 소보민, 한약재) 배를 타거나 자동차를 타면 종종 멀미를 하게 됩니다. 특히 타고 있는 교통수단의 흔들림이 심할수록 증상이 쉽게 나타납니다. 멀미약은 약국에서 저렴하고 쉽게 구매 가능한데, 종류가 몇가지 있습니다. 그 효과 및 부작용이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약을 추천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다용되는 유명한 멀미약들 아네론, 아메론 아네론은 일본의 멀미약으로 효과가 좋다고 소문난 약입니다. 그리고 비교적 최근 한국에서도 아메론이라는 이름으로 같은 성분의 약이 출시되었습니다. 아메론을 구매, 복용하셔도 거의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페니라민) 항콜린제(스코폴라민) 피리독신 카페인 아미노벤조산에틸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73.. 2023. 3. 16.
맹장위치사진과 맹장염증상 9가지, 감별검사법 5가지 충수염은 흔히 맹장염이라고도 합니다. 충수(Appendix)란 대장의 첫 부분에 붙어 있는 끝이 막힌 작은 관을 말합니다. 급성 복통의 흔한 원인이며, 응급실에서 흔하게 절제술을 시행하고 대개 잘 끝납니다. 보통 원인을 밝힐 수 없고 간혹 폐색으로 인해 염증이 생기고 세균 감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맹장염증상 9가지 1. 복통 갑작스럽고 간헐적인 복통이 상복부 또는 배꼽 주위 막연한 부위로 발생. 시간이 지나며 우하측으로 이동. 충수가 터지면 복막염이 될 수 있습니다. 맹장염의 전형적인 증상은 복부 우측 하단의 날카롭고 찌르는 듯한 통증입니다. 통증은 둔한 통증으로 시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심해질 수 있습니다. 통증은 일상 활동을 방해할 정도로 심할 수 있으며 움직임, 기침 또는 재채기로 인해 .. 2023. 3.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