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체질(토양체질, 토음체질) 음식의 비교
토양체질과 토음체질은 췌장과 위장의 기능이 항진된 체질입니다. 소화력이 좋고 식탐이 많습니다. 특히 토양체질은 고도 비만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위장과 췌장의 기능을 지원하는 음식들은 장부의 불균형을 심화시켜서 토체질에게 해로운 작용을 합니다. 토양체질 음식 토양체질 이로운 음식 쇠고기, 돼지고기, 찬우유, 버터, 치즈, 계란 노른자, 흰자, 민물생선, 조개류, 굴, 새우, 게, 흰살생선, 복어 콩, 메주콩, 완두콩, 강낭콩, 팥, 청국장, 땅콩, 아몬드, 캐슈너트, 피스타치오 등, 두유, 두부 쌀, 보리, 메밀, 녹두, 밀가루, 귀리, 호밀 콩기름, 카놀라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코코넛유, 아보카도유 뿌리채소, 잎 채소(배추, 양배추, 상추 등), 구사리, 오이, 무청, 취나물, 미나..
2023. 4. 20.
권도원, 주석원, 류주열 3인의 목양체질 목음체질 음식 섭생
목양체질과 목음체질은 8체질 중 간과 담이 가장 강한 체질입니다. 8체질은 권도원 선생님이 고안하셨습니다. 그 후 8체질을 연구하는 주석원, 류주열 선생님까지 총 3인의 목체질 섭생에 대해 기록하고 비교해보겠습니다. 50년 이상의 시간이 흐르며 생긴 추가사항과 변화가 존재합니다. 1. 권도원선생님의 목양체질 목음체질 음식 목양체질과 목음체질의 섭생표가 비슷하여 묶어서 기록합니다. 목체질에 이로운 음식 동물성 단백질 : 쇠고기, 돼지고기(목음), 따뜻한 우유, 버터, 치즈, 계란의 노른자, 민물생선 식물성단백질 : 콩, 메주콩, 완두콩, 팥(목음에만 좋음), 청국장, 견과, 도토리, 두유, 두부 곡류 : 백미, 수수, 밀가루, 율무, 귀리 기름 : 들기름, 콩기름, 옥수수유, 카놀라유 채소 : 무, 당근,..
2023. 4. 14.
사상의학 태음인 음식 및 한약재 추천
동의수세보원에는 태음인의 음식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기록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태음인에게 쓰는 약재들은 일반 식품이 많습니다. 갈근(칡), 율무(의이인), 약밤(건율), 연밥(연자육) 등이 그러합니다. 그 외 저서에서는 이제마선생님도 태음인에게 이로운 음식에 대해서 서술하신 것이 있습니다. 이제마가 언급한 태음인에게 이로운 음식 이제마선생님이 다른 저서와 편지 등에 기록한 태음인음식입니다. 육류 : 소고기, 청어, 명란 곡식 : 벼, 조, 율무, 두부, 콩 과일 : 밤, 배, 능금 채소 : 가지, 무, 도라지, 연근 즙, 콩나물 기타 : 설탕, 들기름, 술 해로운 음식 : 메밀국수 그 외 사상체질을 연구하신 이건창, 박석언의 사상체질 음식분류 이건창 1965년 四象辦證의 小考 곡식 : 밀가루가공식품..
2023. 4. 13.
권도원, 주석원, 류주열, 이상원 4인의 금체질 음식 섭생의 비교
1960년대 권도원 선생님께서 8 체질에 따른 섭생과 치료를 발표하신 후 수십 년 간 수정과 발전이 있어 왔습니다. 금체질은 금양, 금음체질을 이르는 말로, 사상의학의 태양인에서 분화된 형태입니다. 금양, 금음 두 체질의 음식과 섭생은 거의 비슷하나 조금씩 차이를 보이기도 합니다. 사진 출처 : [8체질 다이어트. 주석원 지음] [1] 8 체질 창시한 권도원 선생님의 금체질 음식 8체질 공식 홈페이지 http://www.ecmed.org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금양체질과 금음체질은 거의 비슷합니다. 8 체질에 따른 섭생의 시초이며 업데이트도 되고 있습니다. 8체질이긴 하나 금양과 금음의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찹쌀은 금양에, 굴은 금음에 조금 더 안 맞고, 귤, 생강, 고추, 파, 양파 등의 향신료는 비..
2023. 4. 7.